띄어쓰기 규정
1. 모든 단어는 띄어 쓰되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예> 부산까지, 사람마다, 꽃이다
2.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예> 것, 바, 줄, 수, 데, 뿐, 리, 듯, 체, 채, 양
3.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.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 예> 한 사람, 한 개, 한 마리
4. 수를 적을 때는 만(萬) 단위로 띄어 쓴다 예> 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, 칠천팔백구십구 ( 12억 3456만 7899) ※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 예> 그때 그곳, 한잎 두잎, 좀더 큰것
5. 보조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. 예> 불이 꺼져 간다(꺼져간다) 견디어 내다(견디어내다) 밝아 오다(밝아오다)
6. 성과 이름,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, 에에 덧붙는 호칭어,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예 >이성희, 이시리 선생님, 채영신 씨
7. 성명 이외의 고유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씀이 원칙이나,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다. 예> 소현 초등학교 (소현초등학교), 한국 대학교 사범 대학(한국대학교 사범대학)
8. 전문 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쓰되 붙여 쓸 수 있다
9. 두 말을 이어주거나 열거할 적에는 띄어 쓴다 예> 청군 대 백군 // 사과, 배, 귤, 감 등 // 영희, 인자, 진수, 동환 들
10. 복합어는 한 덩어리 되게 붙여 쓴다 예> 샘솟다, 지난번, 눈웃음, 우리글, 아침때, 큰아버지, 그만두다
11. 파생어는 한 덩어리로 쓴다 예> 강추위, 맨발, 웃어른, 새파랗다, 잔소리
12. 접미사는 붙여 쓴다 예> 욕심꾸러기, 한국어, 천여 명, 십 원짜리
13. 첩어 또는 준첩어는 한 덩어리 예> 가깝디가깝다, 머나먼, 차례차례, 여기저기, 하루하루